우리나라 경마는 각종 예상지와 마사회의 공식 출마표에 출전마에 관한 거의 모든 정보 자료가 실려 있다. 그중에서 경마 팬들이 가장 판단하기 어려운 정보가 출전마의 질병문제라고 할 수 있다. 경주마 질병은 사람과 마찬가지로 아주 전문적인 수의사가 아니면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그 질병이 경주에 미치는 영향은 알고 있어야 한다.
경주마는 각종 질병에 취약하여 진료를 수시로 받을 수밖에 없다. 경주마 질병도 다양해서 간단한 약물치료도 충분히 질병 또는 크고 작은 수술을 해야만 되는 경우 아니면 완전히 폐사시켜야 하는 질병 등 복잡하다.
경주마 질병 문제에 대하여 한 가지 유의할 사항이 있다. 최근에 질병 치료를 한 출전마는 컨디션이 좋지 않을 가능성이 크고 질병 진료를 받지 않은 출전마는 컨디션이 양호하리라는 생각이다.
이것은 전혀 잘못된 판단으로 거의 모든 경주마는 일정한 질병을 가지고 있으나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오히려 이런 질병에 대해 적절한 치료를 받은 말이 건강하고 컨디션이 좋을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말에게 나쁜 곳이 있는데도 잘 모르고 있을 수 있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여 진료를 받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경마 팬의 입장에서는 경주마 질병 문제는 질병이 경주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면 된다. 경주마는 전문적인 달리기 선수이므로 일종의 직업병인 다리에 관련된 질병을 통상 ‘운동기 질병’ 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운동기 질병과 그 외 질병으로 구분하여 질병의 원인과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 이해하기가 용이하다.
경주마의 다리 부위 근골격계에 발생하는 질병의 총칭으로서 근육, 관절, 인대, 힘줄 등과 관련된 질병으로 앞다리에 많이 발생한다. 질병의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경주 능력에 막대한 영향을 주는 질병이다.
무리한 운동이나 충격 등으로 이러한 질병이 발생되고 특히 천지굴건이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경주마에게 가장 치명적인 질병으로 국내외 유명한 경주마가 ‘천지굴건염’ 으로 퇴역한 경우가 허다하다.
천지굴건염은 발생 부위에 따라 몸통에 가까운 윗부분에 발생할수 있고, 중간부분, 아랫부분 등으로 표시한다. 조기에 치료해야하며 방치하면 경주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말에 있어서 발굽은 말 그 자체라고 할 만큼 중요하다 달리는 말의 충격을 일차적으로 흡수하고 항상 지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발굽 질병이 많이 발생한다. 발굽 질병은 마방의 청결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경주마 질병은 사람만큼 많아 전문가가 아니면 병명 자체도 알기 어려울 정도이다. 경주력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질병만 알고 있으면 되고 그 외 질병 치료는 무시해도 무방하다. 간단하게 치료를 받은 말이 오히려 관리가 잘되어 있는 출전마라고 할 수 있어 세세한 질병 치료는 관심을 두지 않는 편이 좋다.
출전마의 질병 진료 현황에 가장 많이 보이는 사항이나 질병이 아니라 ‘피로 회복 처치’ 를 전문적인 용어로 표현한 말이다. 사람이 피로가 누적될 때 링거 주사를 맞듯이 경주마도 경주나 조교 후 피로물질인 젖산을 효과적으로 배출하고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수액과 각종 영양제를 주사로 투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피로 회복 처치의 효과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경주마의 컨디션 향상을 위하여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거의 모든 경주마가 이용하고 있다.
당연히 경주일 임박해서 ‘피로 회복 처치’ 를 받으면 더욱 좋겠지만 경주마의 금지약물 검출 문제 때문에 통상 출전일 10일 전쯤에 시행한다. 경주 출전 시에는 경주 전후 2회에 걸쳐 금지약물 검사가 엄격히 시행되어 검출되면 해당 조교사는 조교 정지라는 중징계를 받고 경주마는 출전 정지 처분을 당한다.